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뷰
- 아이폰X
- 롤
- 마이크로소프트
- 닌텐도 스위치
- Review
- 구글
- 플레이웨어즈
- LEAGUE OF LEGENDS
- 배틀그라운드
- 문태환기자
- 이벤트
- 카카오게임즈
- AWS
- 오버워치
- 비트코인
- Apple
- 삼성
- Bitcoin
- 애플
- 출시
- 이원경기자
- 엔비디아
- 인텔
- 브레인박스
- 리그오브레전드
- 업데이트
- Microsoft
- 공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449)
IT & Life
인텔의 X299 칩셋 메인보드가 상당히 많은 숫자가 출시 되기 시작하면서 각 메인보드 제조사들의 본격적인 마케팅이 슬슬 준비가 되고 있는 듯 하다. 특히나 게이밍 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출시가 되는 메인보드들의 경우는 RGB 튜닝을 기본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은 기본으로 인텔의 코어 X 프로세서의 빠른 성능을 저렴한 가격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메인보드도 차곡 차곡 준비되고 있다. 오늘 브레인박스에서 소개할 메인보드는 현재 출시된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들 중에서 가장 높은 가성비를 가지고 있는 X299-UD4 메인보드이다. 과연 이 메인보드가 어떤 특징과 성능을 보이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자. 기가바이트 X299 UD4 - 제이씨현 이번 기가바이트 X299 칩셋 시리즈 메인보드 들의 가장 큰..
인텔의 코어X 프로세서가 출시 되면서 AMD의 스레드리퍼와 함께 4코어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사용하는데 정말이지 최적의 가격대비 환경이 만들어졌다. 아직까지 6코어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텔의 경우 50만원 가까운 프로세서와 X299, 혹은 X99 칩셋 메인보드를 구입해야 했다. 하지만 라이젠7 프로세서가 출시가 되면서 프로세서 및 메인보드 가격이 현실적으로 출시 되면서 많은 분들이 4코어 이상의 프로세서 환경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자, 우선 브레인박스에 입수가 된 스레드리퍼의 외형을 얼마 전 출시된 인텔의 코어X 시리즈인 코어 i5 7640X 와 함께 그 크기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자. 실제 스레드리퍼의 모습을 보니 기존에 출시가 되었던 데스크톱 프로세서 중에서 가..
동일한 지포스 칩셋이지만 엔비디아 파트너사 들에게서 만들어지는 많은 그래픽카드들은 상당히 다른 형태와 디자인 그리고 가격으로 세부화와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크게 변화가 있었던 것은 바로 쿨링 부분인데, 실제 그래픽카드의 외부 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쿨러의 디자인은 해당 그래픽카드 제조사들의 아이덴티티를 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실제 엔비디아에서는 기존의 레퍼런스 쿨러들을 블로우 타입의 쿨러가 많은데 이 방식은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을 시켜 전체적인 시스템 온도를 보다 낮추어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전체적인 발열을 잡기 위한 디자인인데, 최근 "듀얼 팬"으로 대변이 되는 튜닝 쿨러를 사용하는 그래픽카드의 경우는 2개의 팬 외에 히트파이프를 직접적으로 GPU에 접촉시..
일반적인 마이크로 ATX 기반의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사무실 환경에서 무선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USB 포트를 갖고 있는 무선 랜 컨트롤러를 많이 구입한다. 저렴하게 만원 대 미만의 USB 토큰 타입(마치 USB 메모리 같은)의 랜 컨트롤러가 있는 반면, 외부 안테나가 있는 2~3 만원 USB 랜 카드를 구입하기도 한다. 필자의 경우는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는 2개의 인터넷 망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유선을 통해 기사 작성 및 검색 등의 외부 일을 하기도 하지만 굳이 사용하지 않은 와이파이 망을 시스템에 해둔 이유는 무선을 활용하는 기기들(예를 들어 오늘 같은 무선 랜 카드의 경우 등)에 빠르게 기사 작성을 하기 위해서 이다. 일부X299 혹은 X399 등 메인보드들 중에서 특히나 하이엔드 급..
현재 만 여명의 스타크래프트 팬들이 뜨거운 광안리의 밤에 함께 하고 있다. 7월 30일 8시 부터 진행되고 있는 스타크래프트 : 리마스터 "GG 투게더" 행사는 국기봉, 기욤 패트리의 이벤트 전을 시작으로 뜨거운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부대 행사로 이어졌던 스타크래프트 : 리마스터 초회판 5,000개는 일찌감치 완판이 되는 등 스타크래프트의 원조 나라, 그리고 E-스포츠의 나라, 마지막으로 수백만의 스타크래프트 팬이 있는 나라 답게 스타 : 리마스터는 순항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벤트 전을 진행하기 전에는 일반 인들이 스타크래프트에 대한 다양한 추억을 보여주고 공유하는 티저가 공개가 되었다. 이 티저는 나레이션은 김진표씨가 맡아, 40대의 일반일들 부터 프로게이머인임요한 마지막으로 현역 게임 캐스터인..
필자도 아재는 아재인가 보다. 지난 7월 30일 저녁 광안리에서 예전 스타크래프트의 향수를 느끼며 지나간 시간에 대해서 잠깐 생각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시간을 가졌던 거 같다. 40대의 비운이랄까? 가정과 사회생활에 많은 시간을 보내다 보니 예전 젊을 때를 회상하면서 삶에 큰 활력이 된 듯 하다. (초반에 국기봉 프로게이머의 티저를 보면서 살짝 눈물이 나기도 했다.) 간만에 예전 스타크래프트를 할 때 나도 그런 마음 그리고 그런 열정이 있었지 하고 말이다. 저녁 8시 본 행사를 시작하기 전에 여러 보도자료를 통해 소개가 되었던 초회판 5,000개 판매가 시작이 되었다. 그리고 블리자드의 클래식팀의 사인까지도 받을 수 있는 좋은 행사가 이어졌다. 이 초회판의 내용물은 어떤 것이 들어 있을까? 초회판은 29..
어제 뚝섬에 위치한 서울윈드서핑장에서는 매체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액티비티를 즐기면서 자신이 고프로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 혹은 사진을 퀵스토리를 통해 편집 및 공유할 수 있는 체험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2시 부터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고프로 이수현 트레이닝 매니저의 발표로 시작되었다. 우선 퀵스토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많은 부분 고프로 제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한번이라고 액션캠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 분들이라면 고프로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 환경이 무척이나 편리하면 진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자의 경우도 아무래도 많은 블루투스 그리고 와이파이 기기들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 지라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다. 고프로의 이수현 매니저는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고프로 카르마 그립, 카르마 드론 ..
키덜트, 욜로, 하비 등 혼자서 즐길 수 있는 혹은 컨텐츠, 트랜드, 문화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2017 코믹콘이 8월 4일 부터 8월 6일까지 삼성동 코엑스 C홀 3층에서 진행이 되고 있다. 영화 그리고 만화 등을 기반으로 한 컨텐츠 등인 만큼 이를 즐길 수 있는 연령대 구분 자체가 없기 때문에 여름 휴가 시즌과 맞물려 상당히 많은 관람객들이 코믹콘을 찾고 있다. 코믹콘 행사장 안에서 반가운 VR 기기인 제이씨현시스템(주)의 HTC 바이브 부스가 눈에 들어왔다. 제이씨현이 코믹콘 행사장 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HTC 바이브 부스에서는 총 2개의 바이브가 시연되고 있는데 상당히 많은 관객들이 동영상 혹은 기사로만 접했던 VIVE VR 기기를 체험하기 위해 줄게 늘어선 줄을 볼 수 있었다. 코믹콘에서는..
정식수입품 (흔히 '정품')이라는 단어에는 믿고 구매할 수 있는'신뢰'가 함께 담겨있으며 그에 따라 믿고 쓸수 있는 편안함이 있다. 게다가 인텔 정품 프로세서는 인텔의 공식 지정 수입처를 통한 제품을 사용하는 정품 고객에게만 제공하는 특별한 혜택도 있으며, 추후 지정된 AS 센터를 통해 3년이라는 긴 서비스 기간 동안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멀리 되게 된다면 단점보다라는 장점이 많다. 보통 정품과 병행수입 제품간의 작은 가격 차이만 두고 고민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지만, 당장의 비용적인 장점보다라는 장기적인 서비스를 놓치고 있는 부분이 많아 이번 기사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정식 계약을 통해 수입 VS 그레이 차이, 왜 다른 나라로 수입된 프로세서가 국내에 들어올까? 인텔 등의 반도체 업체들은 ..
지난 달 인텔 코어 X 시리즈 프로세서의 빠른 발표로 인텔의 하이엔드 멀티 코어 시장에 다양한 프로세서 제품군이 쏟아졌지만 생각 외로 사용자들의 분위기는 냉담해 보인다. 실제 각기 프로세서의 성능적인 요인도 요인이지만 프로세서가 가지고 있는 발열량에 대한 안 좋은 여론이 쏟아지면서 집중포화를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 브레인박스에서는 처음으로 브레인박스에 입수가 된 에즈락의 에즈윈 X399 타이치 메인보드와 AMD의 스레드리퍼 라이젠 1920X 프로세서의 간단한 성능을 비교해볼 예정이다. 본격적인 리뷰에 앞서 간단하게 라이젠 스레드리퍼의 스펙 및 특징 등을 알아보도록 하자. 라이젠 프로세서 라인업 완료 이번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세서 출시 외에 한가지 더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쿼드코어 스펙을 지닌 하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