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icrosoft
- 배틀그라운드
- 아이폰X
- 리뷰
- 문태환기자
- Bitcoin
- LEAGUE OF LEGENDS
- Review
- 공개
- 이원경기자
- 닌텐도 스위치
- 리그오브레전드
- 마이크로소프트
- Apple
- 브레인박스
- 오버워치
- 롤
- 비트코인
- AWS
- 출시
- 이벤트
- 업데이트
- 엔비디아
- 카카오게임즈
- 플레이웨어즈
- 애플
- 인텔
- 삼성
- 구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449)
IT & Life
2017년 3월이 코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사실 1월에 비해서 2월은 28일로 날짜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금방 지나간 듯한 느낌입니다. 물론 그 이면에는 AMD RYZEN에 관한 소식, 그리고 출시를 앞두고 여러 행사와 내부 테스트 등의 과정이 섞여 있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정말 빛의 속도로 지나간 달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지난 2017년 2월 출시 예정 게임(링크)에는 여러 대작 게임 가운데 "포 아너"가 당당히 1위를 차지했고, 의외로 "베르세르크 무쌍"이 2위를 차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3위로는 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의 최신작인 "스나이퍼 엘리트 4"가 입성하여 1~3위 모두 납득할 만한 순위를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2017년 3월에는 어떠한 게임들이 출시..
2017년의 구정 연휴도 지나가고, 엊그제 맞이한 것 같던 새해에서 어느덧 2월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지난 2017년 1월에는 대작 게임의 출시보다는 인디 게임과 플랫포머 게임류가 다양하게 출시되었으며, 그 중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었던 것은 RESIDENT EVIL 시리즈의 최신작이자 새로운 노선으로 접어든 작품, "레지던트 이블 7"이었습니다. 2017년 1월 출시 예정 게임(링크)에서 진행했던 투표 결과가 이를 여실히 증명하고 있는데, 추운 겨울에 더더욱 한파가 몰아칠 만한 공포물이 출시되어 많은 인기를 끈 부분은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밖에도 "테일즈 오브 베르세리아"와 "어반 엠파이어"가 공동 2위를, 플랫포머형 인디 게임인 "피벗 파일럿"이 3위를 차지했습니다. 2017년 2월에도 다양한 게임이 ..
신작 출시 예정 소식을 전달해드리기에 앞서 인사부터 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곧 맞이하게 될 2017년 정유년(丁酉年) 한 해에도 모두 건강하고 보람찬 한 해를 보내시기 바라겠습니다. 뒤돌아보면 2016년은 게임계에 크고 작은 이슈가 많이 존재했는데, 때로는 긍정적이고 때로는 부정적인 소식이 들려올 때도 있었습니다. 지난 몇 년간 소위 "AAA급"이라 부르는 대작 게임들의 질적 문제가 자주 거론되고는 했는데, 특히 2016년 한 해에는 이와 관련된 이슈가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특히 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던 "No Man's Sky"가 Full Price 등급의 게임임에도 완성도 자체의 문제가 지적되어 수사가 진행되는 등의 곤혹을 치룬 바가 있고, "마이티 넘버 9"은 이나후네 케이..
1 . 제품 소개 최근 게임계의 대세는 FPS/RTS 게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17년 9월 5일 자 Stram & 게임 통계에서는 RTS 게임인 Dota2와 FPS인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가 각각 1,2위에 랭크되었으며, 1위에서 10위까지의 차트 중에서 6개가 FPS 게임일 만큼 1인칭 슈팅 게임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1인칭 슈팅 게임이 인기를 얻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부드러운 물리 엔진과 그래픽의 발전을 통해 게이머의 섬세한 컨트롤을 반영할 수 있을 만큼 진화되었고, 게이머들 역시 옛날보다 더욱 쉽고 편리하게 수많은 게임들을 즐길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컴퓨터 역시 게이머의 컨트롤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도록 발전을 나날이 발..
1 . 제품 소개 및 특징 데스크탑 케이스는 ATX 폼팩터 메인보드를 기반으로 그 사이즈가 정해집니다. ATX 폼팩터 메인보드를 탑재할 수 있는 제품 중 가장 표준적인 제품으로는 빅 타워와 미들 타워가 있으며, 그보다 작은 M-ATX/Mini-ITX를 위한 슬림 타워(LP)와 미니 타워, 그리고 그보다 더 작은 폼팩터에 최적화된 베어본 및 미니 피씨 케이스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케이스의 규격을 모두 아우르는 궁극적인 규격의 케이스가 바로 풀 타워 케이스입니다. 빅 타워보다도 더욱 큰 사이즈를 자랑하는 풀 타워 케이스는 E-ATX 메인보드와 3-4장의 그래픽 카드, 360mm 수냉식 라디에이터 쿨러/커스텀 수냉 장치 같은 대형 하드웨어를 장착하는 것에 최적화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일반..
1 . 제품 소개 SSD는 M.2 방식의 제품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구형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좋은 SATA 방식의 SSD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SATA 방식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6Gbit/s의 최대 속도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보다는 조금 낮은 속도를 보입니다. 대부분의 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고성능 SSD 제품들의 최대 읽기 스펙이 550Mb/s 내외인 이유가 바로 SATA 3.0의 속도 한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제품은 지난 기사에서 WD에서 새롭게 출시한 64Layer 3D NAND 기반의 WD BLUE 3D NAND SSD입니다. 해당 제품도 SATA 방식을 사용하므로 인터페이스의 속도 한계를 넘어서지는 못했으나, 업계 최고 사양..
1 . 제품 소개 하이엔드 데스크톱, 흔히 HEDT(High-End Desktop)이라 부르는 라인업은 높은 컴퓨팅 파워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구매욕을 불러일으킵니다. HEDT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사용자들의 대다수는 일반적인 데스크톱보다 높은 컴퓨팅 파워를 원하지만 워크스테이션 & 서버급 시스템을 꾸리기에는 비용적인 부담 크기 때문입니다. 최근 AMD에서는 "스레드리퍼"를 정식 출시하면서 HEDT 시장 진출을 밝힌 바가 있는데, 이전까지는 인텔의 독주 시장이라고 봐야했기 때문에 스레드리퍼가 지니는 의의는 더욱 클 것입니다. 스레드리퍼는 엄밀히 말하면 2개의 코어 다이가 집적된 MCM 형태라고 할 수 있지만, 풍부한 PCIe 3.0 레인수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인텔 HEDT처럼 멀티 그래픽스 기술을 활용..
루머로 떠돌던 지포스 GTX 1070 Ti가 이달 26일 출시된다. 관련 소식을 전해 온 외신들이 모두 26일을 출시 일로 소개하고 나섰다고 한다. 스펙은 코어가 2432개, TMU가 152개로 늘어 났고 베이스 클럭도 100Mhz 이상 상향 조정된 것으로 밝혀졌다. 덕분에 지포스 GTX 1070 Ti는 지포스 GTX 1080와의 연산 성능 차이가 5% 정도로 좁혀질 만큼 뛰어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할 수 있게 만들어 졌다. 하지만, 지포스 GTX 1080 수요까지 흡수할 것을 우려한 나머지 GDDR5X가 아닌 GDDR5 8Gbps 메모리가 그대로 사용됐고 게임과 랜더링 성능을 좌우하는 GPU 속도 역시 AIB 파트너들이 마음대로 조절하지 못하도록 가이드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 이 소식이 사실이라..
엔비디아가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선보이는 ‘딥 러닝 데이 2017(DEEP LEARNING DAY 2017)’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총 3일 간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딥 러닝 데이 2017은 올해 전 세계에 주요 도시에서 진행되는 ‘GPU 테크놀로지 컨퍼런스(GPU Technology Conference, 이하 GTC) 2017’의 일환으로, 오늘날 AI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현황과 사례들이 발표될 컨퍼런스 세션과 실질적인 핸즈온(Hands-On) 세션을 제공하는 딥 러닝 인스티튜트(DEEP LEARNING INSITUTE)로 구성된다. 특히 본 행사는 딥 러닝 AI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AI 스타트업을 주제로 하는 5개 주요 트랙을 통해 각 주제..
AMD 라데온 RX 베가 56에 대항할 목적으로 개발된 지포스 GTX 1070 Ti는 아직 정식 발표된 제품이 아니라서 많은 것이 베일에 쌓여있다. 스펙 정도만 확인 됐을 뿐 구체적인 성능이나 실제 제품 모습이 공개된 적은 없었는데 KFA2가 NDA를 깨고 지포스 GTX 1070 Ti를 전격 공개했다. KFA2는 갤럭시의 유럽 브랜드로, 그들이 공개한 지포스 GTX 1070 Ti는 커스텀 모델이다. 커스텀 모델 답게 듀얼 팬으로 이뤄진 알루미늄 히트싱크 쿨러를 적용 했고 7페이즈 VRM과 6핀/8핀 파워 커넥터가 배치된 PCB 회로를 사용했다고 한다. GPU 내부 스펙은 표기하지 않았지만 얼마 전 논란이 된 오버클럭 제한 영향인지 베이스 클럭과 부스트 클럭 모두 앞서 확인된 클럭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